※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

        1. 데이터베이스란? - 용도와 목적에 맞는 데이터들끼리 모아서 저장하는 공간으로 여러 개의 테이블로 구성된다.

 

        2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elational Database, RDB)란? -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 기초를 둔 데이터베이스로 설계 시 모든 데이터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차원 테이블 형태로 표현한 뒤 각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한다. RDB을 관리 · 감독하기 위해 RDBMS을 사용하며 MySQL,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MariaDB 등이 이에 속한다.

 

        3. 테이블 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단위. 데이터 모델에서 엔터티에 해당하며 세로 열(Column)은 인스턴스를 나타내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가로 행(Row)은 속성을 나타낸다.

 

        4.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 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

 

※ SELECT문

        1. SELECT -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
             Ex) SELECT 컬럼1, 컬럼 2, ... FROM 테이블 WHERE 컬럼1 = '아무개';

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1-1) 컬럼을 명시하지 않고 *를 사용하면 전체 컬럼이 조회되며 조회되는 컬럼의 순서는 테이블의 컬럼 순서와 동일하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또한 별도의 WHERE절이 없으면 테이블의 전체 Row가 조회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Ex) SELECT * FROM 테이블;

 

             1-2) 테이블명이나 컬럼명에 별칭을 붙여줘서 여러 개의 테이블을 JOIN하거나 서브쿼리가 있을 때 컬럼명의 앞에 같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명시된 테이블명을 짧게 줄여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Ex) SELECT BAND.BAND_NAME, BAND_MEMBER.MEMBER_NAME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FROM BAND, BAND_MEMBER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WHERE BAND.BAND_CODE = BAND_MEMBER.BAND_CODE;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SELECT B.BAND_NAME, BM.MEMBER_NAME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FROM BAND B, BAND_MEMBER BM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WHERE B.BAND_CODE = BM.BAND_CODE;

 

        2. 산술 연산자

               Ex) SELECT COL1+COL2 AS A, COL1-COL2 AS B FROM TEST;

 

산출결과

        3. 합성 연산자 - 문자와 문자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

               Ex) SELECT 'S' || 'Q' || 'L'  AS SQLD FROM TEST;

 

산출결과

 

+ Recent posts